IT Study/Git8 README 뱃지 만들기 https://seobie.github.io/blog/how-to-make-badges-for-github-readme GitHub Readme에 넣을 뱃지 만들기 | Seob'log GitHub Readme에 markdown문법을 활용해서 조금 더 예쁘게 꾸밀 수 있습니다. seobie.github.io 2023. 3. 24. [Git] 서버와 싸움한 후기 사건의 전말 github에서 팀원들 코드를 받기위해 cv이름의 파일을 만들었습니다 파일에 cd cv 접근한 다음 git init을 했습니다 git pull 하고 (여기서 부터 문제) 뭔가 이상함을 느끼기 시작 했습니다 changes가 10k 이상 나오길래 포기하고 초심으로 돌아가고자 cv파일을 손으로 삭제하였습니다 이후 접근하였더니 저상태 입니다 ㅠㅠ 자 다음 중 문제가 되었던 문장은 어디일까요?? 정답 : 2. 파일에 cd cv 접근한 다음 git init을 했습니다 협업을 해보지 않고 혼자서만 연습을 했던 습관 때문에 github에서 받아오는 과정에서 clone 을 사용하지 않고 init을 사용한 것이 문제 였습니다 또한 해결을 러프하게 그냥 파일을 강제로 삭제하기 시작하면서 꼬이기 시작 결과 어떻게.. 2022. 10. 29. [Git] 서로 다른 로컬저장소에서 서로 다른 파일을 수정 Do it 깃 & 깃허브 입문 이고잉 강사님 특강 3 먼저 깃허브에 가입을 하고 Repository를 만들자 Add .gitignore 하고 template을 지정하면 해당하는 언어의 ignore파일을 자동으로 만들어 주는 기능 Readme는 Github의 홈페이지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된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sjz1/my_git_prac.git 그 다음 push를 하게 되면 다음과 같이 실패하게 된다 git push 나의 로컬 master와 원격 저장소의 어떤 branch를 페어링할지를 모름 (로컬에서는 master인데 원격에서는 main을 하고 싶을 수도 있자나) 그냥 저 중간에 있는 코드 복붙하면 된다 git push --set-upstream .. 2022. 10. 24. 2시간은 제발 이해하자 git flow 나 github flow 나 둘다 원칙은 master는 항상 실행 가능한 상태 여야 한다 git flow는 develop branch를 채택해서 여기서 일상 적인 작업을 한다 gut checkout -b develop 새로운 기능을 작업할 때는 git checkout -b feature/login feature는 기능이 아니라 그냥 접두사로 사용 feature branch 에서 끝나면 develop으로 보내고 어느 정도 작업이 완료되면 release branch로 보냄 git checkout -b release/1.0 release branch에서는 작업을 추가하는게 아니라 release에 필요한 작업을 추가한다 근데 release에 있는건 개발에 중요하기 때문에 자주자주 develop .. 2022. 10. 20. [Git] 이고잉 강사님 특강 (1~2) 복습 & 정리 1. 파일 만들고 VSC에 Drag and Drop 2. 터미널을 열고 저장소 만들기 git init 3. 파일 만들기 (꼭 저장하기) work1.txt => 1 work2.txt => 2 work3.txt => 2 4. commit하기 git status git add FILE_NAME git commit -m "COMMIT MESSAGE" 5. 현재 상태 확인하기 git log --oneline --all 위의 코드를 통해 시간여행할 commit ID를 확인하기 6. Head를 옮겨서 Detached Head State로 바꿔주기 git checkout COMMIT_ID 7. 복귀해보자 git checkout master HEAD가 가르키는 Branch인 master를 work 1으로 옮기고 싶다 (.. 2022. 10. 20. [Git] Github를 통한 협업 방법 [Git] Do it 깃 & 깃허브 입문 이고잉 강사님 특강 2(2) 2회차: 깃헙을 통한 협업 방법 5) 원격 저장소를 만든다. (github.com, gitlab.com) 6) 지역 저장소에 원격 저장소를 연결한다. (git remote add origin 원격 저장소의 주소) 7) 지역 저장소의 비밀번호를 원격 저장소에 등록한다. (ssh-keygen, id_rsa.pub 파일을 github의 계정에 ssh 키로 등록한다) 8) 지역 저장소의 브랜치와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를 연결한다. (git push -u origin master) 9) 동료를 추가한다. (github의 setting의 collaborators에 동료의 계정을 추가한다) 10) 충돌 상황을 만들어본다. 깃 : 지역 저장소와 원격 .. 2022. 10. 20. 이전 1 2 다음